본문 바로가기
Develop/Others

Resolution / BitRate / FrameRate

by 3-stack 2023. 3. 9.

※ 목적: 최저 용량으로 불편하지 않은 영상 서비스 제공

※ 해상도 외에도 프레임 속도와 비트레이트에 따라 동영상이 달라진다.

 

Resolution(해상도)

  • 비디오의 너비/높이를 픽셀 단위로 측정하는 크기
  • 예를 들어, 1920×1080 크기의 동영상은 너비가 1920픽셀, 높이가 1080픽셀이다. 해상도는 높이로만 표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해상도는 1080p라고 말할 수도 있다.

 

Bit rate(비트 전송률)

  • 초당 포함된 데이터의 양을 메가비트 단위로 측정한 값.(Mbps)
  • 품질을 나타내는 보다 일반적인 지표.
  • 비트레이트가 높은 동영상의 경우 이미지 선명도를 떨어뜨리는 압축 아티팩트가 적지만 컴퓨터나 디스크의 공간을 더 많이 차지한다.
  • 해상도가 높을수록, 프레임 속도가 높을수록, 앞축률이 낮을수록 높아진다.
    • 높은 해상도의 비디오 파일은 보다 많은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이다.
    • 압축을 많이 하면 동영상 품질이 저하되므로 비트레이트는 파일 크기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.

 

Frame rate(프레임 속도)

  • 초당 화면에 표시되는 정지 이미지의 수 를 측정한 값.
    프레임 속도는 "초당 프레임 수"를 의미하는 FPS로 측정됩니다.
  • 동영상이 재생되는 속도를 나타낸다. 높을수록 더 부드럽게 표시된다.
  • 비트 전송률이나 해상도만큼 중요하지는 않지만 프레임 속도는 동영상 종횡비의 또 다른 중요한 요소다.
  • 프레임 속도가 높으면 비트 전송률도 증가한다. 초당 표시되는 정지 이미지의 수가 증가 하면, 초당 포함된 데이터의 양도 증가하기 때문이다.

 

Encoding(인코딩)

  • 카메라로 촬영한 RAW 비디오 파일을 변환하여 스트리밍 가능한 디지털 비디오 파일로 변환하는 프로세스.

 

Codec(코덱)

  • Codec은 coder-decoder의 줄임말로,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어 비디오 또는 오디오 파일을 사용할 때 처리하는 프로그램이다.
    코덱은 오디오 및 비디오 파일 모두에 존재하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더 작은 인코딩된 형태로 압축한다.
    코덱 프로그램으로 인코딩된 파일을 사용하면 코덱이 데이터를 볼 수 있는 형식으로 디코딩합니다.
  • 코덱이 오디오 또는 동영상 파일을 압축할 때 파일 크기가 작아지는 대신 일부 품질이 손실된다.
  • 희생되는 화질의 양은 코덱마다 다르다. 무료 스트리밍 사이트를 통해 인코딩된 영화를 볼 때 같은 영화를 블루레이나 공식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볼 때보다 화질이 떨어지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.

 

비트레이트 및 해상도 설정 조합

'Develop > Other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ws cloudformation 이란  (0) 2023.03.26
aws copilot 이란?  (0) 2023.03.26
개발자의 평생공부  (0) 2023.02.07
zsh: command not found: nvm  (0) 2023.01.21
CSS Tools: Reset CSS  (0) 2022.12.29

댓글